엘더스크롤 온라인 한글 패치

2023년 11월 11일 업데이트

유저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한글패치 덕분에 엘더스크롤 온라인을 한글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.

이 페이지는 처음 엘더스크롤 온라인 진입시 한글패치와 애드온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차차가 자체 제작한
초간단 한글패치 통합파일에 대해 안내되어 있습니다.

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바로 아래의 <초간단 한글패치> 가이드를 참고하여 빠른 게임 진입을 추천합니다.

초간단 한글패치는 유저와 GPT의 합작 100% 한글화 패치입니다.
GPT 스크립트를 한패 서버 운영자이신 worldwideweirdo님이 작성하였습니다. (유저번역 약 85%, GPT번역 약 15%)

 

<초간단 한글패치>

엘더스크롤 온라인 실행 후 캐릭터 생성 후 게임에 진입하면, ESC를 누른다음 ADD-ONS로 들어갑니다.
애드온 사용에 동의 후 상단 Add-Ons 옆에 “ON”을 확인합니다. “OFF”로 되어 있다면 “ON”으로 바꿔줍니다.
ESC -> SETTINGS -> Accessibility 에 들어가서 Accessibility Mode가 ON으로 되어 있다면 OFF로 바꿔주십시오.

게임을 종료합니다.

아래 다운로드 링크에서 한글 패치와 기본 애드온 통합 파일을 받으신 다음, 애드온 폴더 경로에 압축을 풀어주십시오.

[11월 11일자 초간단 한글패치, 초보자 필수 추천 애드온 4개 통합 압축 파일 다운로드]
(위 파일들은 독립된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 뒤 구글드라이브를 통해 배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글 크롤러에 의해 보안 안정성을 검증 받은 압축 파일입니다)

일반사용자 애드온 경로
“C:₩사용자₩사용자명₩문서₩Elder Scrolls Online₩live₩AddOns”
원드라이브 사용자 애드온 경로
“C:₩사용자₩공용₩공용 문서₩Elder Scrolls Online₩live₩AddOns”

애드온 폴더 경로는 자동적으로 생성되어 있어야합니다.
압축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폴더는 제외하고 AddOns 폴더에 바로 풀어 넣으셔야 합니다.
한글 패치

참고로, 시작 버튼 옆 검색 창에서 OneDrive를 검색했을 때 앱이 있다면 원드라이브 사용자입니다.
OneDrive를 설치했다가 지운경우 애드온 폴더가 원드라이브 사용자 경로에 생성될 수도 있습니다.

아주 드물게 애드온 폴더가 엉뚱한 곳에 생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이 경우 인게임에서 키보드 “Print Scrn SysRq”키로 스크린 샷을 찍을때 우상단에 저장 경로가 나옵니다.
경로 중 “Live”폴더안에서 “AddOns” 폴더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패치 후 미니맵과 관련된 사항은 다음 링크의 영상을 확인해 주세요. [입문자 가이드 영상 미니맵 파트] 

한글 패치 이후 접근성모드가 켜져있거나 게임패드 UI를 사용하는 경우 일부 한글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이것은 현재 한글패치 시스템의 폰트와 관련된 수정 불가한 이슈로 정상적으로 한글패치가 된 것이니 큰 불편함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그러나, 캐릭터 선택창에서 한자 출력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접근성 모드를 끄고 게임패드 모드를 따로 활성화 시킬 것을 추천드립니다.

초간단 한글패치를 하고 채팅창에 한글이 안보이거나, 접근성모드를 껐을 때 채팅창이 사라지는 등의 부가적인 이슈가 발생한다면
아래의 이미지에 나온 경로에서 폰트를 Universe57로 변경해주십시오.

한글 패치

모든 과정을 완료하고 게임을 실행하여 캐릭터 선택 후 플레이 버튼을 누르십시오.
인게임에서 ESC키를 누르고 오른쪽 하단의 유니언잭(영국국기)을 태극기로 선택해주시면 한글로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.
대부분 캐릭터 선택후 게임에 진입하면 바로 한글패치가 적용됩니다.

↳ 정규 라이브

↳ 비정규 라이브